728x90 반응형 *^ㅇ^* - 한번 읽어보면 좋은 것들131 [인생과일] 사과, 이젠 비싸서 못 먹겠네. 사과값이 71% 올랐지만 당장 수입을 못하는 이유역대 최악의 과일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작년에 비해 사과는 71%, 귤은 78.1%, 배는 61.1%나 가격이 올랐다. 국민 과일인 사과가 작년부터 이어진 이상 저온 현상으로 인해 서리, 여름철 폭염과 집중호우, 병해충의 영향을 받아 가격이 폭등했는데 그 결과 사과의 대체품인 배와 귤까지 덩달아 가격이 올랐다.그렇지만 과일 수입은 쉽지만은 않다.국내 가격이 치솟자 일시적으로라도 과일들을 해외에서 수입해오면 되지 않냐는 목소리도 많은데 사실 농산물 수입이란게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현실이다. 농산물을 수입하다 외래 병해충이 국내에 유입될 경우 생태계 교란이 발생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자칫하면 주변 농작물까지 생산이 줄고 방제 비용이 늘어나 .. 2024. 3. 15. [인생과일] 샤인머스캣? 샤인머스캣은 원래 일본이 만든 포도? 샤인머스캣은 독특한 풍미와 달콤한 향, 높은 당도로 짧은 시간에 인기 과일로 올라섰다. 그런데 사실 샤인머스캣은 원래 일본이 개발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까? 로열티를 못 받는 일본 샤인머스캣의 탄생은 198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농림수산성 산하의 한 연구소는 더 달고 맛있는 포도를 만들기 위해 3가지 이상의 포도 종자를 교배하기 시작했다. 개량의 개량을 거듭한 결과 끝에 포도의 거슬리는 신맛과 씨앗을 없애는 동시에 당도를 크게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 그렇게 탄생한 품종이 바로 샤인머스캣이다. 하지만 개발 단계에서는 샤인머스캣이 이렇게까지 화제가 될 줄은 몰랐었다고 한다. 그래서 수출도 고려하지 않아 따로 해외에 품종 등록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2024. 3. 12. [청년 지원 확대] 학비부터 자산 형성까지 청년 지원 확대 정부가 민생토론회를 통해서 청년 지원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가장 중요한 국정 동반자는 청년츠이라면서 각종 지원 대책을 통해 든든한 후원자가 될 것이라고 하는데 한편으로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한편으로는 청년에 국한되어 있어 아쉬울 따름이다. 지원한다는 방안은 크게 4가지이다. 1. 학비와 취업 지원 - 먼저 대학생을 위한 장학금 3종 패키지를 발표했다. * 현재 200만 명 중 100만 명이 국가장학금을 받고 잇다고 하는데 향후 150만 명까지 받을 수 있게 대상을 확대한다고 한다. * 근로장학생도 올해 추가로 20만명까지 늘리고, 근로장학금 지원 단가 역시 교내 9,860원, 교회 1만 2,220원으로 작년보다 각각 240원, 1,070원을 올릴 예정이라고 한다. * 새롭게 발표된 주거장학금은 기초/.. 2024. 3. 8. [금융 tip] 대출이자도 줄일 수 있을까? 가계 이자 비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오랫동안 이어져 온 고금리 시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이를 위한 정부와 은행의 정책 등을 알아보다. 가계 이자 비용 역대 최고치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1인 이상 가구의 지출 중 월평균 이자 비용은 13만원으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2022년의 9만 9천원과 비교하면 1년 사이에 32%나 증가한 셈이다. 이 기록은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증가폭이라고 한다. 코로나 19 시기에 가계부채가 늘어난 사람들이 많았고 고금리 현상이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나온 결과다. 특히 서민들은 주요 지출을 줄이면서 이자를 갚아나가는 상황에 처했다. 이자를 줄일 수 있는 정책들 1. 소상공인 금융지원 패키지 정책이 생겼다. - 중/저신용 소상공인 사.. 2024. 3. 5. [실거주의무제] 새로 산 집을 바로 전세로 줄 수 있다고? 실거주 의무 3년 유예' 개정안 국토위 통과 '최초 입주 후 3년 이내'로 완화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에 대한 실거주 의무를 3년간 유예하는 주택법 개정안이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고 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을 의결했거 해당 법안은 실거주 의무가 시작되는 시점을 '최초 입주 가능일'에서 '최초 입주 후 3년 이내'로 완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실거주 의무는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아파트를 청약받으면 입주 시점에 2~5년간 직접 거주하도록 하는 규정으로, 갭투자자가 아닌 실거주자만 분양을 받도록 하자는 취지이다. 주택시장이 과열되던 시기에 투기를 막기 위한 규제였는데, 2022년 말 분양 시장이 얼어붙자 정부는 지난해 1·3 부동산.. 2024. 2. 29. [검은 반도체] 수출액만 1 조원? 전 세계 수산물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는 식품이 있다는 사실을 나는 몰랐다.항상 마땅한 반찬이 없으면 계란후라이랑 김은 한 끼를 때우는 서브 반찬정도?이렇게 무시받던 김이 사실은 효자 상품이란다.한국이 김을 수풀하는 나라만 124개국에 달하며 수출액도 매년 8%씩 늘어 작년에는 무려 1 조원을 돌파했다.효자 수출품 반도체에 빗대어 "검은 반도체"라는 병렴ㅇ을 얻을 정도인데 어쩌다 김은 외국에서 잘 팔리게 됐을까? 김 생산량이 줄고 있는 일본김은 식품으로 가공해 판매하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 중국 밖에는 없다고 한다. 그 중 우리나라의 생산량이 압도적이라고 하며 한국의 연간 물김 생산량은 55만 톤, 마른 김으로 환산하면 150억 장에 이른다고 한다. 엄청나다. * 우리나라.. 2024. 2. 2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728x90 반응형